|
❍ 테드 코넌트 콜렉션(Theodore Richards Conant Collection) |
테드 코넌트는 1952년 운크라(United Nations Korea Reconstruction Agency, UNKRA) 소속의 녹음 기사로 처음 한국에 온 뒤, 운크라, 유네스코, 미군의 문화영화 및 뉴스릴 제작에 관여했다. 테드 코넌트가 소장한 영상, 사진, 문서 자료 등은 콜럼비아대학 동아시아도서관에 기증되었는데, 이 중 한국관련 영상물은 총 71편으로, 2011년 한국영상자료원에서 14편을 수집했고,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역사영상융합연구팀에서 57편을 추가 수집했다. 테드 코넌트는 고교 시절 레이더, 무선전신에 대한 교육을 받고 운송선박, 라디오, TV 방송국 등에서 일하면서 오디오, 방송기술을 습득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그는 태평양 상선을 타고 무선통신담당으로 전쟁을 경험했다. 전쟁 후 스워스모어(Swarthmore)대학을 다니며 방송 일을 하던 중 다큐멘터리 감독 로버트 플래허티(Robert Flaherty)를 만나 그의 조감독으로 일하면서 다큐멘터리 작가로서의 인생에 큰 영향을 받았다. 1952년 유엔소속 녹음 기사로 처음 한국에 온 뒤, 1957년에는 운크라가 설립한 농업학교 ‘신생활교육원’에서 시청각 교육을 담당했다. 1958년에는 시라큐스 계약에 따라 운크라에서 공보처 영화과의 녹음 담당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한국 영화인들에게 기술을 전수하고 녹음 기재의 설비에도 적극 관여했다. 이 시기 테드 코넌트는 유엔, 유네스코, 미군 등을 위해 문화영화 제작에 참여했으며, 프리랜서 다큐멘터리 감독이자 사운드 엔지니어로 BBC, CBS, NBC 등 상업방송국을 위한 뉴스릴 제작에도 관여했다. 그런 한편, 이형표 감독과 밀접하게 교류하면서 한국을 주제로 한 <위기의 아이들 Children in Crisis>, <한국의 예술가 Korean Artist> 등의 다큐멘터리도 연출하였다.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역사영상융합연구팀에서 소장한 테드 코넌트 콜렉션의 71편의 영상 중 중복 영상 한 편을 제외한 70편의 영상은 저작권 합의서에 따라 연구소 내부에서만 학술적 목적으로 시사가 가능하며 이 영상들 전체에 대한 카탈로깅 및 일부 영상에 대한 해제는 온라인으로 서비스된다. 학술적 목적 등을 위해 이 영상들의 스틸 컷(정지사진)을 활용할 경우, 원 자료의 소장처(하버드대학교 영상아카이브)를 밝혀야 한다. (참고자료: 최소원, 「‘2011 발굴전’ 수집 경과 보고」, 한국영상자료원, 냉전시대 한국의 문화영화 – 테드 코넌트, 험프리 렌지 콜렉션을 중심으로, 2011; 공영민, 「공보처 영화과와 영화인력: 대한원조와 테드 코넌트를 중심으로」, 한국영상자료원, 같은 책.) |
Gen. MacArthur, good shots of refugee, good shots of war footage(Gen. MacArthur, good shots of refugee, good shots of war footage) ![]()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1950년 6.25 전쟁 당시 미국과 유엔에 의한 대한민국의 원조 내용을 홍보하는 영상 |
Korean Artist(Korean Artist) ![]()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한국의 자연 환경과 고궁, 현대인들의 일상, 화가(화가이자 후에 영화감독이 되는 이형표)가 작업하는 장면 등을 교차로 보여주는 한편, 옛 선조들의 조각, 수묵화와 채색화, 그리고 한국 현대미술의 일부 등을 보여주면서 한국의 고미술과 현대미술을 일괄함. |
Korean Classical Dance, Seoul(Korean Classical Dance, Seoul) ![]() 유형: 비편집영상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한국의 전통 무용을 촬영한 영상 |
Korean Classical Dance(Korean Classical Dance) ![]() 유형: 비편집영상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한국의 전통 무용을 촬영한 영상 |
Korean Fantasy(Korean Fantasy) ![]()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전쟁 이후 폐허 속에서 재건된 한국의 농촌과 도시, 한국의 일상 생활 등을 보여줌. 또한 발전하고 있는 한국 안에 잘 보존되어 있는 궁과 자연의 아름다움, 그네뛰기, 김치 담그기, 탈, 전통 음악과 무용 등의 다양한 전통문화들을 보여주면서 밝고 희망찬 한국의 이미지를 보여줌 |
Korean Traditional Arts(Korean Traditional Arts) ![]() 유형: 비편집영상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한국의 전통적인 미술과 이를 재해석한 오늘날의 그림들을 보여주는 영상 |
Making Film of Korean Film “Dream”(Making Film of Korean Film “Dream”) ![]() 유형: 비편집영상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1954년 신상옥의 1955년 영화 <꿈>의 촬영 현장을 기록한 영상 |
Opera Carmen(Opera Carmen) ![]() 유형: 비편집영상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1954년 12월 추정 오페라 카르멘의 공연 실황을 보여주는 영상 |
Temple(Temple) ![]() 유형: 비편집영상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절에서 불공을 드리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 |
The Story of Korea(The Story of Korea) ![]()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이 영상은 "Story of Korea"라는 시리즈의 일부로, 한국 전통 음악의 종류와 역사를 보여준다. |
Unkra Film Unit(Unkra Film Unit) ![]() 유형: 비편집영상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운크라에서 제작한 극영화 <고집>의 일부로, 고집의 여동생이 교통사고를 당하는 장면과 UN군의 도움으로 치료를 받는 내용 등을 중심으로 한 편집본 |
Korean Fundamental Education Center (Korean Fundamental Education Center ) ![]()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1957~58년 추정 / 제작사:공보실 신생활교육원에서의 생활을 소개하는 영상. 강의 내용 및 방식, 과외활동, 급식장면, 영상교육 장면들을 소개하고,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묘사하여 보여주는 영상. |
Korean Research Document(Town’s end?)(Korean Research Document(Town’s end?) ) ![]() 유형: 비편집영상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1960 조선민주당 간부의 이승만 대통령 방문, 이승만 대통령의 정무활동, 3.15선거의 준비와 전개 및 결과, 4.19의 발발과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 3.15부정선거의 주요 피고인에 대한 재판내용을 보도하며 재판의 녹취록을 함께 담고 있는 오디오 뉴스 영상. 영어방송도 함께 전달하는 영상. 공명선거의 노래가 덧붙여져 있음. |
Old Titles, neg(Old Titles, neg ) ![]()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1953년 추정 한국전쟁의 발발을 알리는 신문기사들을 보여주는 영상. 신문기사가 전쟁의 상황을 전하고 있으며, 역사학자들이 전쟁의 의미를 기록할 것임을 자막으로 설명한다. 또한, 자막은 어린이들의 얼굴을 통해 전쟁을 돌아볼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
Korean War-US troops(Korean War-US troops) ![]() 유형: 비편집영상 / 수집처: 테드 코넌트 컬렉션 / 제작일: 2차 대전 전투에서부터 반전운동과 종전을 기뻐하는 군인 및 민간인들, 그리고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모습을 담은 영상. 바다와 육지에서의 전투장면과 더불어 일본과의 종전협정, 군인들을 지도하는 히틀러의 모습, 반전 메시지를 담은 작품들을 보여주며, 영상을 통해 메시지를 상징적으로 전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