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뉴스 대한뉴스KC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NARA 수집자료 리버티뉴스
코리안뉴스 스크린리포트 테드코넌트컬렉션 브리티시 파테 프랑스 고몽-파테
프랑스 국립시청각연구원 마이니치뉴스 아사히뉴스    


❍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국립영화제작소는 1948년 7월 발족된 공보처 공보국 영화과로 시작되었다. 공보국 영화과는 <대한뉴스>를 비롯한 뉴스영화와 문화영화를 생산했으며, 1961년 6월 공보부 공보국 영화과로 재편되면서, 국립영화제작소(소장 이성철)가 정식으로 출범했다. 이후 1994년 국립영상제작소로 개명했다가 1999년 국립영상간행물제작소, 2004년 영상홍보원, 2007년 한국정책방송원으로 재편되었다. “문화영화”라는 용어는 정확한 개념 규정이 어려운 용어 중 하나이다. 한국에서 문화영화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일본이 독일 우파의 ‘Kulturfilm’이라는 용어를 수입하여 ‘문화영화’로 번역하고 이를 1926년 󰡔동아일보󰡕 (1926.5.16.)에서 차용했을 때부터였다. 이 시기부터 문화영화는 “극영화가 아닌 것”(일제말기), “실사 기록을 위주로 한 것”(이승만 정권기), “사실 기록을 위주로 제작된 영화”(박정희 정권기) 등 미묘하게 다른 방식으로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문화영화는 <팔도강산>(배석인, 1967)과 같이 극화된 영화부터 <홍길동>(신동헌, 1967)과 같은 애니메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화들을 포괄하는 개념이기도 했다. 문화영화라는 개념이 이 같은 복잡성을 띠고 있음에도,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역사영상융합팀은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주로 제작되었던 이 영상들을 “문화영화”로 분류한다. 우리 팀에서 카탈로깅한 영상들이 주로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영상이며, “문화영화”는 이 시기 국립영화제작소 제작 영화들을 통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1950년대 공보처와 1960년대 이후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했던 문화영화들은 현재 KTV e-영상역사관의 영상관 중 ‘분야별 기록영상’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역사영상융합연구팀은 이 중에서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제작된 영상들 중 한국어 외의 언어로 제작된 영상, 제작년도 오류로 잘못 기입된 영상 등을 제외하고 980여 편의 영상에 대한 카탈로깅을 진행했다. 또한, 역사적, 영화사적 중요도에 따라 선별된 96편에 대한 해제 작업도 진행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제 38회 3.1절을 맞이하다(제 38회 3.1절을 맞이하다)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57
1957년, 전국 각지에서 치뤄진 3.1절 기념식 모습을 담고 있다. 서울에서 열린 3.1절 기념식에는 이승만 대통령 내외와 주요 인사가 참석하였으며, 많은 학생들이 도열하여 이승만의 연설을 듣는다. 학생들은 시가지 퍼레이드를 벌이며, 파고다 공원도 보인다. 이러한 3.1절 기념식은 서울을 비롯, 춘천과 부산의 기념식 모습도 등장한다. 각 지역의 기념식 모습은 서울과 유사하다.

자유의 소리 (자유의 소리)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57
서울방송국의 방송 제작 과정과 송출 과정을 보여주는 영상. 기본적인 편성 회의에 대한 언급으로부터, 뉴스 편집과 방송 녹음, 청중들과 함께 녹음하는 공개방송인 ‘스무고개’, 일반인이 출연하여 노래하는 ‘노래자랑’ 방송 녹음, 녹음된 방송에 대한 음향 편집과 연희, 수원 송신소를 통한 방송 송출 등이 다루어지고 있음

서울의 역사(서울의 역사)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57 / 제작사:영진 푸로덕숀
서울의 도시 역사에 대하여 서울시 내외에 실제로 남아있는 고전 건축물을 중심으로 보여주는 영상.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계획 하에 건축된 서울을 둘러싼 성곽의 모습, 시내에 위치한 4곳의 궁궐과 종묘, 사직단, 성균관, 청계천의 현재 모습이 등장함. 각 건축물의 유래를 문헌 기록을 중심으로 설명

개화와 문명의 발달(개화와 문명의 발달)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57 / 제작사:영진 푸로덕숀
배재학당, 이화학당 등의 교육시설, 제중원 등의 새로운 병원, 교회로 대표되는 새로운 종교 등을 통해, 구한말 개화로 변화한 한국 사람들과 서울의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 한국전쟁으로 시내와 길거리가 폐허로 변하고 많은 주택이 소실되었으나, 빠르게 제 모습을 되찾아가고 있는 서울을 보여줌.

6.25 전쟁 후 서울의 재건 (6.25 전쟁 후 서울의 재건)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57 / 제작사:영진 푸로덕숀
경제 분야와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서울의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 먼저 서울의 경제와 관련하여 중요 생산 시설이 위치한 영등포 일대의 공장 모습을 보여줌. 직물을 비롯한 일상소비품이 생산되는 모습. 영등포 뿐만 아니라 아니라 시장에서 활발한 소비활동이 전개되는 모습도 등장함. 교육 분야는 서울에 위치한 국민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의 현황과 실제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시민들의 안식처, 서울(시민들의 안식처, 서울)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57 / 제작사:영진 푸로덕숀
서울 시민들의 휴식에 관련된 내용이 등장하고, 서울시 인구의 확대와 관련하여 앞으로 도시를 확장하기 위한 도시계획을 언급하는 영상. 일요일에 사람들은 교회를 가거나, 한강 등지에서 휴식을 취하고 스포츠경기를 관람함. 영상의 마지막에는 도시 인구 증가에 따른 도시 확대 계획을 언급함.

보리를 살리는 새 비료(보리를 살리는 새비료)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58
보리 재배에 있어서 토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화학비료 석회와 과석 사용을 권장하는 내용의 영상임. 우리나라 보리 재배에서 농민이 자급 생산하는 퇴비 종류 이외의 비료가 사용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 제시됨. 비료 생산이 부족한 상황에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석회비료 이용이 가능하므로 보리 재배를 위한 토질 개선 목적으로 석회비료를 사용할 것을 강조. 국회에서 제정된 농사교도법에 따라 설치된 농사원은 각 농촌에 새로운 농사법과 비료

산업과 경제(산업과 경제)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58
정부 수립 10년이 되는 1958년 기준으로 많은 공업 시설이 복구 또는 건설되어 국내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영상. 석탄 생산이 증대되어 국외 수출을 통한 외화수입에도 일조할 수 있게 되고, 화력발전소와 수력발전소 건설을 통하여 전기 수요를 충당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시멘트와 방적·방직업의 생산 공장이 세워짐에 따라 많은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을 제시

교육 문화(교육 문화)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58
교육과 문화 부문에서 재건이 많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영상. 우선 교육 부문을 보면 국민학교에서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각급 학교의 수가 확대되어 보다 많은 학생들이 교육의 기회를 갖게 되었음. 예술 부문에 있어서도 동남아 예술사절단이 해외로 파견되는 등 연극, 영화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짐. 방송 부문에서는 텔레비전 방송이 이루어짐. 이 영상을 통해 우리 교육 문화 부문의 재건이 착실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줌.

공업(공업)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58
전쟁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은 국내 산업시설과 사회간접자본이 성공적으로 복구되고 있음을 홍보하는 영상. 생산분야 전반을 매우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시멘트 생산 원활화에 대한 언급에서 시작하여, 동력이 되는 전력·석탄 생산, 경제를 위해 필요한 도로, 철도, 비행기 등의 교통 시설, 마지막으로 각종 공업 생산의 복구와 생산 원활화 등을 언급함

농촌의 부흥을 위하여(농촌의 부흥을 위하여)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61 / 제작사:국립영화제작소
혁명정부가 실시하는 농업 정책을 홍보하는 영상. 먼저 정부는 농민들에게 총액 230억환에 달하는 영농자금을 융자하는 정책을 실시하였으며, 농업협동조합중앙회를 발족시켰다는 점을 강조. 농림장관 장경순이 직접 출연하여 정부의 농업시책을 언급하면서, 마지막으로 농민들에게 저축운동에 동참할 것을 당부

전화도수제란(전화도수제란)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61
1961년부터 실시되는 ‘전화도수제’에 대한 홍보 영상. 기존의 전화요금제는 전화1대당 정액 요금제였으나, 이제 사용한 기록 만큼 전화요금이 과금되는 전화도수제를 실시하게 되었음

벼의 병충해 방제(벼의 병충해 방제)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62 / 제작사:국립영화제작소
자신의 논에 병충해가 들끓어도 구태의연한 농사방식을 고집하던 주인공이 농촌지도소에 가서 벼의 병충해를 막고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교육받고 새로운 농사법에 눈을 뜬다는 영상

경상북도 상주군 양잠 시범 부락(경상북도 상주군 양잠 시범 부락)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63
경상북도상주군 양잠시범부락에서는 주민들은 양잠업에 종사한다. 뽕밭은 집 가까운 곳에 있어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뽕밭에서 뽕잎을 하루에 3번 따서 누에에게 먹인다. 특히 뽕잎을 일일이 따는 것이 아니라 가지 채 쳐서 따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절약된다. 절약된 시간을 활용해 다른 일을 볼 수 있으며 일과가 끝나면 온 가족이 여가시간을 보낸다.

받들자 3.1정신(받들자 3.1정신)
유형: 문화영화 / 수집처: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 제작일: 1962
 1919년의 3.1운동을 기념하는 영상임. 전반적으로 2부로 나뉘는데, 전반에서는 3.1운동과 관련된 각종 이미지와 영상을 보여주면서 현재적 의의를 4.19와 5.16과 관련지어 설명. 후반에서는 3.1운동을 선도했던 민족대표 33인의 사진을 보여주면서 개별적으로 설명.